우리아이 자존감 높이는 방법
안녕하세요 퍼스트마마입니다.
육아를 하다보면 내맘과 같지 않은 아이를 볼때 마음이 많이 좋지 않습니다. 내가 잘못키웠나, 왜이럴까 나닮아서 그런가 모든 책임을 엄마가 짊어지게 되는 순간이 오곤 합니다.하지만 부모의 탓도 아니고 그렇다고 계속 자존감 낮은 사람으로 성장한다고는 볼 수 없으며 얼마든지 개선해 나간다면 달라질 수 있답니다.자존감 높은 아이로 키울 수 있도록 오늘은 우리아이 자존감 높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1.자존감이란 심리적 의미는?
자존감이란 영어로 self-esteoom(셀프 에스팀)이라고 하는데 자아 존중감이라고 말합니다. 자아 존중감은 자신에게 스스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닌다. 아무리 직장에서 성공하지 않아도 누구로부터 사랑받고 있지 않아도 자신을 소중히 생각하는 마음입니다. 이렇게 자신을 스스로 인정하는데 있어서 어떤 이유도 필요없이 자신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2.자존심과 비슷한 단어들의 차이
★자존심 : 어떤 자신도 (단점도,장점도)받아 들여 자신을 소중한 존재라고 생각하는 마음,스스로를 존경하는 마음
ex:내가 먼저 사과하는 것은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는 일이다.
★자부심 : 자기 자신 또는 자기와 관련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스스로 그 가치나 능력을 믿고 당당히 여기는 마음
ex:그의 당당한 태도에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자부심이 깃들어 있다.
★프라이드 :자신의 존재 가치, 소유물,행위에 대한 만족에서 오는 자존심
ex:나는 나의 유학 경력에 대해 남다른 프라이드를 가지고 있다,
★긍지 : 자신의 능력을 믿음으로써 가지는 당당함, 보람, 자랑으로 순화 ,
ex)나는 내가 경찰인 것에 긍지를가지고 있다.
ex: 상대가 약체라 하더라도 자만은 금물이다.
자만은 현실의 자신보다 자신을 너무 높이 평가해버리는 상태입니다. 자체 평가는 너무 높아서도 너무 낮아서도 좋지 않습니다. 오늘 준비한 포스팅을 보면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3. 자존감이 낮은 채로 있다고 연애,인간 관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자존감이 낮으면 자신이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자신의 진정한 감정을 전달하거나 자신의 단점을 보이는 것도 어렵게 느껴집니다.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고 싫은 일이라도 억지로 하게 되면 스트레스가 쌓이게 됩니다. 단점을 숨기려고 하면 정말 자신을 보여주기도 전에 지쳐버리고, 상대의 오해를 살 수도 있습니다. 그러는 사이에 점점 자신의 진정한 감정도 알 수 없게 되어 불안해지거나 우울증에 시달리게 될 수도 있습니다. 스스로 자신을 싫어하기 때문에 당연히 주위 사람들도 자신을 싫어한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러한 악순환을 반복 해버리고나면 연애나 인간관계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때로는 그런 자신을 바꾸고 싶은 생각이 많이 들게 될겁니다. 자신을 바꾸는 방법과 주의점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4.자존감이 낮은 이유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태어날 때부터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없습니다. 그럼 왜 자존감이 낮게 되어버리는 것일까 주요 원인을 세가지로 구분했습니다.
4-1,어린시절의 경험이 관건
어린 시절에 부모 등 친밀한 성인들로부터 들었던 말들과 행동들을 겪어 왔는지 ,어떤 훈육을 받아왔는지 에 대한 것들이 자존감에 영향을 미칩니다. 한 예를 들자면, 중2 여자의 경우 매우 능력이 있고, 약 1년에 걸쳐 자존감을 높힌 결과 최종적으로 지망 학교에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사실 이 여중생은 부모로부터 너는 바보야 쓸모 없다 라는 말을 계속 들어왔고, 오빠와 많은 비교를 당해오면서 자신은 쓸모없는 사람이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이 학생은 부드럽고 심성이 착하여 염려를 해주는 등의 반응이 있었지만 처음에는 상대에대한 배려가 전혀 없었습니다.이 예와 반대로 어른이 아이에게 긍정적인 말을 건네고 행동을 보이고 그런 행동을 하는 모습을 본 아이, 즉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소중히하라고 성장한 남자는 자존심이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4-2 현재의 자신의 생각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눈 앞에 밥을 보고 빨리 먹어야지 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다이어트의 적이야 먹으면 안돼 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처럼 같은 것을 보더라도 자신의 틀안에서 색안경을 끼고 보게 됩니다. 한 예로 A친구가 B에게 너 피부 정말 좋다 라고 칭찬을 했는데 B는 너 추녀야라는 말을 돌려말했다고 생각하고 속상해 했습니다.. B는 친구 A가 평소 아첨을 떠는 말을 하는 사람이 아니였기 때문에 A의 본심은 너 추녀야 라고 말했다고 생각합니다.사실 이 B친구는 어렸을 때 못생겼다고 친구들 사이에서 왕따를 경험한 사실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자신도 모르게 나는 못생겼다 라고 믿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칭찬 자체를 나쁘게 생각해버리게 되었고, 자존감이 낮아지게 된것입니다.
4-3 스트레스 사회
어른도 일이나 대인관계를 통한 사람들을 통해 스트레스를 안고 삽니다. 미디어 등에 의한 부정적인 정보를 보고 듣기도 합니다. 가정에서 학교에서 어린이들이 어른들에게 혼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린이 사이에서 왕따 뉴스도 화제에 오르기도 합니다. 매끼니 밥을 먹는 것처럼 매일 이런 정보들을 흡수하고 너무 자주 혼나게 되면 자존감이 낮아지고 맙니다.필요없이 너무 예절을 중시하고 배려를 가르쳐 자신의 것은 지키지 못하고 무조건 배풀고 양보하고 사과하기만을 배우게 되면 이또한 자존감이 낮아질수 있습니다.
우리아이 자존감 높이는 방법
1. 비교는 절대 금물입니다.
어린시절 원치 않게 흔하지 않게 의도하지 않게 형제 자매라던지 친구들과의 비교를 당해보신 분들은 알것입니다. 쟤는나랑 다른데 왜 자꾸 비교를 하지?기분 나빠라고 말입니다.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는 것은 경쟁심을 불러일으켜 동기를 불러일으켜 더 높은 목표를 갖게 하는 긍정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는 반면, 나의 능력에 벗어난 목표를 세워 실패를 맛보게 하는 부정적인 요소로 적용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실패는 결국 자존감을 떨어뜨리게 되는 요인이됩니다. 아이마다 기질이 다르고 장단점도 다릅니다. 자라는 환경 그리고 부모의 환경도 다르기 때문에 같을 수 없습니다. 내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을 가르치고 결과에 상관없이 과정을 칭찬해주시면 좋습니다.
2.자녀의 기질과 특성 알아차리기
사람은 누구나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무리 부모가 올바른 양육을 하겠다고 마음먹더라도 아이가 가기조 있는 기질이나 특성을 무시한채로 양육을 시도한다면 올바른 양육은 할수 없습니다. 특히 불안한 수준이 높고 까칠하고 예민한 아이일 수록 더 많은 안심을 줘야하고 아이의 반응에 즉각 반응해줌으로써 아이의 불안한 마음을 해소시켜주고 안정감을 갖도록 할 수 있습니다.
3.실패를 받아주고 기다려주기
아이가 실수했거나 실패하면 부모는 마음의 여유를 갖기가 힘듭니다. 하지만 부모가 실망하고 상처받는 것보다 아이가 받는 상처의 크기는 훨씬 더 크기때문에 부모가 마음의 여유를 갖는것이 중요합니다.아기가 실패를 했너나 실수했다면 그 사실을 인정하고 속상한 마음을 먼저 공감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격려의 말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잘 안되서 힘들지 그런데 다음엔 더 잘 할 수 을꺼야 너무 힘들어하지마 라고 격려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아이는 속도가 느리고 어떤 일을 할 때까지 느긋하게 기다려주는 기다림의 자세가 필요합니다. 한국엄마들은 아이가 다 할때까지 기다려주는 것이 가장 힘들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아이는 작고 서툴고 약하기 때문에 느릴 수 밖에 없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아이니까.밥을 먹을 때도 숟가락질이 서툴기 때문에 엄마는 빨리 먹이고 싶은 마음에 대신 떠 먹여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반복되면 아이가 클 수록 엄마가 알아서 해주겠지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어릴때부터 실패를 하더라도 스스로 할 수 있는 시간과 여유를 주시기 바랍니다. 어떤 일을 해냈을 때 성취감을 맛보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4.양육 자존감을 키우세요
부모가 양육자존감이 낮다면 아이에게도 자존감을 낮게 만들어버릴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말에 휘둘리지 않고 나스스로에게 이 정도면 잘햇지 잘하고 있어라고 말할 수 있도록 양육 자존감을 키우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무슨 옷을 입혀야지 오늘은 어떤 음식을 해줘야지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하시고 부모부터 성취감을 느껴보세요 각자 부모만의 양육 마음가짐이 있습니다. 다른사람들은 어떻게 하더라 라는 카더라 통신을 듣거나 보게 되어 자신의 아이에게도 맞을거다 라고 생각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흔히들 말하는 것이 있습니다. 육아의 정답은 없다고.
'육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 공부의 동기를 부여하는 방법 10가지 (0) | 2017.04.07 |
---|---|
장난감 사달라고 우는 아이 대처법 (0) | 2017.04.06 |
바쁜 아빠 아이와 잘 노는 방법과 엄마의 자세 (0) | 2017.04.06 |
24개월 미만 아기와 비행기 타고 떠나는 해외여행 TIP (0) | 2017.04.02 |
아이와 유대감 높이는 방법 베이비사인 (0) | 2017.03.23 |